맨위로가기

박경원 (192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경원(1923년)은 일제강점기에 일본군 소위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육군 소장, 중장을 역임한 군인 출신으로, 5·16 군사정변 이후 경상북도지사, 내무부 장관, 체신부 장관, 교통부 장관 등을 역임했다. 그는 대한민국 육군 중장으로 예편 후 제19대 체신부 장관, 제17대 교통부 장관을 지냈으며, 제10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내무부 장관 재임 중 새마을운동을 추진했으며, 2008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의 병참감 - 박시창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헌신하고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기여한 군인 박시창은 박은식의 양자이며, 황포군관학교 졸업 후 중국 국민혁명군에 참여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 광복 후 대한민국 육군에 참여 및 한국 전쟁에도 참전, 광복회 회장을 역임하며 독립유공자들의 권익을 위해 노력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병참감 - 이효 (1912년)
    이효는 만주국에서 한국독립군과 광복군으로 활동하고 대한민국 육군 소장으로 예편한 후 한국독립당과 민주공화당에서 정치인으로, 대한체육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한국 스포츠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 목포상업고등학교 동문 - 이경재 (1932년)
    이경재는 진보적인 성향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목포상업고등학교, 조선대학교, 한양대학교를 졸업하고 조선대학교 총학생회장을 지냈으며, 제13대와 제14대 국회의원을 역임했고, 저서 『한국경제 이젠 바꿔야 한다』를 남겼다.
  • 목포상업고등학교 동문 - 조운 (시인)
    조운은 일제강점기 및 해방 이후 활동한 시인으로, 민족주의적 시조를 짓고 시조 부흥 운동에 참여했으며, 월북 후 잊혀졌다가 해금 조치 이후 재평가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예하 지원군 - 김창룡
    김창룡은 일제강점기 관동군 헌병으로 항일 조직 색출에 참여한 군인으로, 해방 후 대한민국 육군에서 정보 및 방첩 업무를 담당하며 숙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특무부대장으로서 인권 침해 및 사건 조작 의혹, 김구 암살 사건 연루 의혹 등 각종 논란 속에 암살당해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일제강점기의 조선인 출신 일본 육군 예하 지원군 - 송요찬
    송요찬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부사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소위로 임관하여 4·3 사건 진압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정치적 갈등으로 구속된 인물이다.
박경원 (1923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박경원
원래 이름朴璟遠
출생일1923년 1월 3일
국가대한민국
종교천주교 (세례명: 요셉)
사망일2008년 2월 20일
정당무소속
형제박진원(동복 아우)
박유원(이복 누이동생)
박형원(이복 남동생)
친인척김재명(이복 매제)
고금자(처제)
최문규(처제부)
출생지일제강점기 전라남도 영광
거주지대한민국 서울 용산구
대한민국 서울 마포구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
사망지대한민국 서울
부모박춘(부)
배우자고금옥
본관밀양(密陽)
별명호(號)는 연우(蓮牛)
웹사이트박경원
군 복무
군복무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41년 ~ 1966년
계급[[파일:중장.JPG|40px]] 대한민국 육군 중장
근무육군 제2군사령부
지휘육군 제4군단 포병연대장
육군 제1사단장
육군 제27사단장
육군본부 병참감
육군 첩보부대장
육군 제2군단장
합동참모본부장
육군 제2군사령관
참전한국 전쟁
주요 경력
직책제17대 교통부 장관
임기1967년 10월 3일 ~ 1968년 5월 21일
대통령박정희
총리정일권 대한민국 국무총리
차관이용 대한민국 교통부 차관
기타 경력제27대 내무부 장관
민주공화당 당무위원
민주공화당 국회의원
무소속 국회의원
제32대 내무부 장관
제36대 내무부 장관
제19대 체신부 장관
대한석탄공사 총재
신민주공화당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
자유민주연합 전임고문 겸 당무위원

2. 생애

전라남도 영광군 출생이다. 목포상업고등학교(현 목상고등학교)와 나가사키고등상업학교를 졸업했다[1]. 학도병으로 일본군 소위가 되었고[1], 치바육군고사학교를 졸업했다. 1946년 6월 12일자로 군사영어학교를 졸업하여 소위(군번 10106번)가 되었다. 1960년 단국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이듬해 국방대학원을 수료했다. 대한민국 육군에 입대하여 소장·중장을 역임했다.[1] 1950년 제11사단 참모장을 역임했고, 1952년 10월 광주의 포병학교에 입교했다.[2][3] 1953년 제11포병단장[4], 1954년 제4군단 포병사령관을 역임했다. 1956년 제1보병사단 사단장, 1958년 제27보병사단 사단장에 임명되었고, 이후 육군본부 병참감(1959년), 육군 정보부대장을 거쳐 제13대 제2군단 군단장(1961년 5월)을 역임했다. 5·16 군사정변 직후, 현역 군인의 신분으로 경상북도지사에 임명되었다.[5]

1962년 10월 16일, 제27대 내무부 장관에 임명되어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의 현역 군인 출신 내무부 장관이 되었다. 1963년 11월 내무부 장관직을 사임하고 다시 군에 복귀하여 육군 중장으로 합동참모본부장을 역임했다. 1965년 제2군 사령관에 임명되었고, 1966년 육군 중장으로 예편했다. 예편 후 1966년 12월 27일부터 1967년 10월 2일까지 제19대 체신부 장관을 역임했고, 1967년 10월 3일부터 1968년 5월 21일까지 제17대 교통부 장관을 역임했다. 1968년 5월 내무부 장관에 재임되었다. 내무부 장관 재임 중 과잉 생산된 시멘트를 전국에 보급하고 새마을운동 추진 정책을 펼쳤다. 아울러 주민등록 제도 시행, 예비군민방위대 창설, 크리스마스 조용히 보내기 운동 등을 추진했다.[5]

내무부 장관 퇴임 후 5·16 재단 이사에 선임되었고, 1972년 6월 대한석탄공사 사장을 역임했다. 1972년 12월 유신 헌법에 따라 설치된 헌정회의 초대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1974년 8월부터 1975년 12월까지 세 번째로 제36대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이후 1979년 제10대 총선에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 정계 은퇴 후 대한배구협회장, 공동경비구역(JSA) 자유의 집 건설단장, 명동 코스모스백화점 고문, 국제친선교류단체 프렌드십·포스·인터내셔널 한국회장으로 활동했다.[5]

2008년 2월 20일, 지병으로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6]

2. 1. 초기 생애와 군 복무

박경원(1923년)은 전라남도 영광군 출생으로, 1941년 전라남도 목포고등상업학교를 졸업하였다.[1] 일제강점기에 학도병으로 일본군 소위가 되었고,[1] 치바육군고사학교를 졸업했다 . 1945년 광복 후 1946년 군사영어학교 1기로 임관하였으며,[1]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2기를 거쳐,[1] 1949년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 1951년 대한민국 육군기갑학교, 1953년 미국 육군 포병학교, 1954년 대한민국 육군 공병학교를 졸업하였다. 1956년에는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 1959년 단국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61년 대한민국 국방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 전쟁 당시 박정희 대령을 비롯한 15명의 포병장성들과 함께 각 사단의 포병사령관으로 발탁되었다.[1] 1950년 제11사단 참모장을 역임했고, 1952년 10월 광주의 포병학교에 입교했다.[2][3] 1953년 제11포병단장,[4] 1954년 제4군단 포병사령관을 역임했다. 1956년 제1보병사단(대한민국 육군) 사단장, 1958년 제27보병사단(대한민국 육군) 사단장에 임명되었고, 이후 육군본부(대한민국 육군) 병참감(1959년), 육군첩보부대장을 거쳐 1961년 5월에는 제13대 제2군단 군단장을 역임했다.[1] 1961년 7월 2군단장 재직 시절 대침투작전에서 적 사살 2명, 생포 2명, 월북기도자 6명을 검거하는 전과를 올렸다.

5·16 군사정변 직후, 현역 군인의 신분으로 경상북도지사에 임명되었다.[5]

2. 2. 정치 활동

5.16 군사 정변 직후 1961년 5월 20일, 박경원은 군복을 입은 채로 내무부 장관에 임용되어 정부 수립 이후 최초의 현역 군인 내무부 장관이 되었다.[5] 1962년 27대 내무부 장관, 1966년 19대 체신부 장관, 1968년 32대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다.[1] 이후 5.16 재단 이사, 대한석탄공사 총재를 거쳐 1972년 12월 통일 주체 국민 회의 사무 총장에 임명되었다.[1] 1974년부터 1975년까지는 36대 내무부 장관, 1978년부터 1979년까지는 17대 교통부 장관을 역임하였다.[1] 1979년에는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10대 국회의원(마포구, 용산구)과 공화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1]

박정희가 중용한 인맥의 중심인물로, 특히 내무부장관 재임 당시 새마을운동을 주도하였다.[1]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이 새마을운동의 모태인 "새마을 가꾸기 운동"을 한해대책 지방장관회의에서 공식적으로 발설하였고, 박경원은 전국적으로 과잉생산된 시멘트와 쌍용양회의 자금난을 해결하기 위해 박정희 전대통령에게 시멘트를 전국적으로 배포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새마을운동을 시작하게 되었다.[1] 정부가 재고 시멘트를 구입하여 약 35,000개 부락에 333부대씩 지급되어 빨래터, 다리 등이 놓아지기 시작하였다.[1] 또한, 주민등록제도 실시, 예비군민방위대 창설, 경부고속도로 건설을 지휘하여 국가 기반 조직 확립에 기여했다.[1]

2. 3. 정계 은퇴 후

박경원은 정계 은퇴 후 다양한 직책을 역임했다. 공동경비구역(JSA) 자유의 집 건설단장, 명동 코스모스 백화점 고문, 제15대 대한배구협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국제 친선교류단체인 프렌드십 포스 인터내셔널(Friend Force International)의 한국 회장직을 맡았다.

3. 평가와 비판

박경원은 다섯 차례의 장관직과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대한민국의 농업, 복지, 교통, 물류, 통신 현대화 등 국가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빈틈없고 강한 리더십을 보여준 일화가 다수 기록되어 있다. 내무장관 재임 당시에는 국민과 호흡한다는 시정 방침을 강조하여 군사정권의 혁명 과업에 많은 국민들이 찬성하도록 이끌었다.

새마을운동은 국제적으로 한 국가의 농촌 발전에 대한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개발 위주의 획일화된 정책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4. 가족 관계

박경원은 아버지 박춘(朴瑃) 선생의 슬하 3남 5녀 중 장남이자 셋째로 출생하였다. 친어머니는 그가 목포고등상업학교 재학 시절이던 1936년에 별세하였고, 아버지가 1938년 재혼하였다. 아버지와 계모 사이에서 출생한 이복 누이동생과 이복 남동생이 있었다. 이복 누이동생 박유원은 훗날 예비역 육군 소장 출신의 김재명 前 서울지하철공사 사장과 결혼하여 이복 친인척 관계를 이루었다. 이복 누이동생은 서울지하철공사 사장을 3회에 걸쳐 연임한 육군 소장 출신 김재명과 결혼하여 김재명 장군과 이복 매제의 관계이다. 막내 이복 남동생은 前 서울 동작구 부구청장 박형원 예비역 육군 중위이다. 처가 쪽에서 손아래 동서는 수도군단장, 국방대학원장, 육사교장, 한국석유공사 이사장 등을 역임한 육군 중장 출신 최문규이다.

5. 상훈


  • 월남2등무공훈장
  • 태국1급최고훈장
  • 일등근무공로훈장
  • 일등보국훈장
  • 청조근정훈장
  • 2등근무공로훈장
  • 3등근무공로훈장
  • 총무무공훈장
  • 화랑무공훈장
  • 적십자 10년 봉사장
  • 방위포장
  • 서독십자명예훈장
  • 미국동성훈장
  • 엘살바도르 공화국 일등수교훈장
  • 가봉 공화국 Grand Officer 훈장
  • 니제르 공화국 공로훈장대십자장
  • 말레이시아 팡크리마망쿠네가라훈장
  • 에티오피아 성장명예훈장

6.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78년총선민주공화당114,444표 (35.62%)1위당선초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5-16
[2] 뉴스 <865>老兵이 걸어온 길-115-포병장교 무더기 진급 http://kookbang.dema[...] 2022-11-02
[3] 뉴스 <866>老兵이 걸어온 길-116-미군의 반대를 뚫다 http://kookbang.dema[...] 2022-11-02
[4] 웹사이트 韓國戰爭史第9巻 對陣末期(1953.1.1~1953.7.27) http://www.imhc.mil.[...] 한국国防部軍史編纂研究所 2022-11-02
[5] 웹사이트 박경원(朴璟遠) https://encykorea.ak[...] 2023-08-16
[6] 뉴스 [부고]전 내무부 장관 박경원 씨 별세 https://www.donga.co[...] 2022-05-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